터비뉴더블액션겔 가격, 효능, 리뉴얼, 겔타입 무좀약, 터비뉴겔, 터비뉴원스와 차이점, 무좀약 양쪽발 다발라야하는 이유

안녕하세요. 이약사입니다.

 

무좀은 약국에 피부질환으로 방문하는 환자의 절반에 해당할 정도로 흔한 질병입니다.

간혹 무좀을 백선이라는 좀 생소한 단어를 사용하는 분들도 계신데요.

백선(ringworm)은 피부사상균 그러니까 각질, 모발, 손발톱에 침범하는 곰팡이균에 의해 발생하는 감염증을 총칭하는 용어입니다. 그리고 발에 걸린 백선을 족부백선, 무좀이라고 합니다.

 

무좀은 증상에 따라 지간형, 소수포형, 각화형으로 구분됩니다.

피부가 벗겨지며 불쾌한 냄새가 나는 지간형, 수포가 올라오는 소수포형, 발바닥에 딱딱한 각질이 일어나는 각화형 등으로 구분되지만, 일반적으로 이 세 가지가 복합적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이를 구분해서 약을 바르긴 어렵습니다.

 

따라서 약국에는 피부사상균을 죽이는 테르비나핀 성분에 다른 성분이 들어간 복합제가 많이 사용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 설명드릴 터비뉴더블액션겔은 복합성분 무좀약 중 하나입니다.

edited_KakaoTalk_20250306_155857763.jpg
터비뉴더블액션겔

터비뉴더블액션겔 성분

유효성분 : 약 1g 중

성분 함량
디펜히드라민염산염(USP) 10mg
리도카인(USP) 20mg
에녹솔론(BP) 1mg
이소프로필메틸페놀(별규) 10mg
테르비나핀염산염(EP) 10mg

첨가제 : 락트산, 소수화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에탄올(95), 정제수, 콜로이드성이산화규소

성상 : 무색-미황색(연노랑)의 반투명한 겔제

 

1. 주성분 : 테르비나핀(Terbinafine)

Screenshot 2025-03-06 at 17.23.29.jpg
테르비나핀 구조식(인용 : 위키백과)

테르비나핀은 1974년 스위스 베른에서 6년간 연구를 거듭한 끝에 1980년에 개발되었으며, 1992년 라미실이란 제품으로 상용화되었습니다.

라미실크림, 라미실원스 등 라미실이란 무좀약을 많이 들어보셨을 텐데 바로 이 테르비나핀 성분의 오리지널 제품에 해당되며, 오리지널이기 때문에 다른 무좀약들에 비해 가격이 다소 비쌉니다.

 

테르비나핀은 가장 최근에 개발된 알릴아민계 무좀약으로, 백선에 특히 유효하지만 칸디다증에는 효과적이지 못합니다.

따라서 본인 질환이 일반적인 무좀인지 칸디다증인지 확인 후 테르비나핀을 사용하면 좋습니다.

 

테르비나핀은 무좀 치료 후 재발이 적은 장점이 있으며 현재는 겔, 크림, 연고, 분무제 등 다양한 제형으로 다양한 제약회사에서 출시되어 사용되고 있습니다.

 

작용기전

Screenshot 2025-03-06 at 17.53.55.jpg
테르비나핀 작용기전

에르고스테롤은 진균의 세포막 필수 성분입니다.

테르비나핀은 이 에르고스테롤 합성을 억제하여 항진균 효과를 나타내는데요.

 

에르고스테롤 합성과정은 스쿠알렌 -> 라노스테롤 -> 에르고스테롤로 구성되며, 테르비나핀은 에르고스테롤 합성 초기 단계인 스쿠알렌 에폭시화(squalene epoxidation)를 억제하여, 진균세포 내에 에르고스테롤 결핍과 스쿠알렌 축적을 유발하여 진균세포를 사멸시킵니다.

 

2. 그 외 성분

1) 디펜히드라민염산염

Screenshot 2025-03-06 at 18.08.24.jpg
디펜히드라민 구조식

디펜히드라민은 진정작용이 강한 1세대 항히스타민제입니다.

내용제로 복용 시엔 졸음 부작용이 심해 알레르기약보단 수면유도제로 판매되지만, 바르는 외용제에선 여전히 히스타민에 의한 알레르기 증상을 막아주는 데 사용되고 있습니다.

히스타민이 분비되어 혈관 내피세포에 존재하는 수용체에 결합 시 혈류 및 혈관 투과도를 증가시키고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요.

디펜히드라민은 이러한 수용체와 히스타민의 결합을 억제하여 알레르기 증상을 막아줍니다.

 

2) 리도카인

리도카인은 마취 성분으로 가려운 감각을 없애줍니다.

국소에 소량으로 사용되기 때문에 마취제라고 부작용을 걱정하시지는 않으셔도 됩니다.

 

3) 에녹솔론

Screenshot 2025-03-06 at 18.25.25.jpg

에녹솔론은 글리시레틴산으로도 불리며 감초에서 추출한 성분입니다.

주로 자극을 완화시켜 주고 항염증 작용을 통해 자극성 피부염 치료에 사용됩니다.

 

4) 이소프로필메틸페놀

이소프로필메틸페놀은 소독제, 구강청결제 등에 사용하는 항균제 성분입니다.

항균 효과를 통해 무좀균이 증식하는 것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터비뉴더블액션겔 효능, 효과

edited_KakaoTalk_20250306_155857763_01.jpg
터비뉴더블액션겔 약품정보

터비뉴더블액션겔은 테르비나핀, 에녹솔론, 디펜히드라민, 이소프로필메틸페놀, 리도카인과 같은 5가지 복합성분으로 구성되어 가려운 무좀에 효과적이며, 지간형, 수포형, 각화형 등 다양한 무좀, 완선(사타구니백선), 백선에 효능, 효과가 있습니다.

 

사용법

edited_KakaoTalk_20250306_155857763_02.jpg
터비뉴더블액션 약품정보

1일 1회 적당량을 환부에 발라 사용합니다.

겔 타입이기 때문에 바르고 찝찝함이나 끈적임이 비교적 덜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무좀약은 재발을 막기 위해 완전히 치료가 될 때까지 꾸준히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무좀이 발병하지 않은 발이라 하더라도 양쪽 발 모두에 바르면 보다 완벽한 치료가 됩니다.

환부를 깨끗이 하고 완전히 건조한 상태에서 적용하며, 무좀균은 물을 좋아하는 균이기 때문에 평소에도 고온다습한 환경을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적용 시 일시적으로 자극감이 나타날 수 있는데, 증상이 지속된다면 전문가와 상의해야 합니다.

※무좀약 양쪽 발에 다 발라야 하는 이유

무좀을 일으키는 피부사상균, 곰팡이균은 전염성이 강해 감염된 발만 바르면 다른 발로 옮겨가 치료가 제대로 되지 않을 수 있습니다. 따라서 처음부터 양쪽 발에 모두 발라서 전염을 방지하고 재발을 막는 것이 중요한데요.

무좀약은 치료가 완료될 때까지 꾸준히 사용하며, 무좀균이 좋아하는 고온다습한 환경에 노출되지 않도록 생활 습관 교정도 필요합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1. 사용 후 발진, 가려움, 붓기 등 과민증이 발생한 적 있는 사람의 경우 사용하지 않습니다.

2. 임산부, 수유부, 유소아는 사용이 금기입니다.

3. 눈, 눈주위, 점막, 음부, 외음부, 습진, 상처가 심한 부위, 손톱, 두피 등에는 사용하지 않습니다.

 

터비뉴겔, 터비뉴원스와 비교

etc-image-7etc-image-8
터비뉴 시리즈

동아제약 터비뉴는 터비뉴겔 20g, 30g, 터비뉴 원스 6g, 그리고 터비뉴 더블액션겔 30g 제품으로 구성됩니다.

 

터비뉴겔은 테르비나핀 성분만 10mg/g 들어있으며, 터비뉴 원스는 1회 적용하면 13일간 각질층에 테르비나핀이 잔존하여 진균의 증식을 억제하는 FFS(film forming solution) 제형을 이용한 제품입니다.

터비뉴 원스는 매일 무좀약을 바르는 것이 번거로워 번번이 치료에 실패하여 재발이 반복되는 환자라면 추천될 수 있습니다.

 

터비뉴 시리즈는 특허받은 Trans gel타입으로 각화형 무좀에도 효과가 좋습니다.

 

터비뉴더블액션겔, 터비뉴겔, 터비뉴원스 가격

스마트스토어광고스샷.jpg

터비뉴더블액션겔, 터비뉴겔, 터비뉴원스는 일반의약품으로 반드시 약국에서 구매해야 합니다.

최근 터비뉴 시리즈는 리뉴얼이 되면서 가격이 변동되었습니다. 터비뉴 더블액션겔 30g의 경우 약국 판매가격은 9,000원입니다.

제품명 가격
터비뉴겔 30g 8,000원
터비뉴 더블액션겔 30g 9,000원
터비뉴 원스 6g 10,000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