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이약사입니다. 아직 건강검진 이후에 신장조직검사를 받지않은 상태라 뒷이야기를 적고있진 않는데요. 그래도 대학병원에 가서 단백뇨를 줄이기 위한 약들을 처방받아 해당 약에 대한 이야기를 해볼까 합니다. 처방받은 약 디오반필름코팅정 40mg (발사르탄 40mg) ARB(Angiotensin2 Receptor Blocker) 포시가정 10mg (다파글리플로진프로판디올수화물 12.3mg) SGLT2 (Sodium-Glucose Transporter2) inhibitor 아토젯정 10/20mg (아토르바스타틴칼슘수화물 21.7mg, 에제티미브 10mg) HMG-CoA reductase 오마코연질캡슐 (오메가-3-산에틸에스테르90 1000mg) 먼저 저같은 경우엔 혈뇨와 단백뇨가 나와 사구체성 신염을 추..
안녕하세요. 이약사입니다! 혈뇨와 단백뇨가 나오는 제상황에서 합리적으로 의심할수있는 질환인 사구체신염 그중에서 IgA 신증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다음 자료는 분당 서울대학교병원 신장내과 자료를 인용하였습니다. IgA 신증이란? 신장은 우리몸의 노폐물을 제거하고 수분 균형을 맞춰줍니다. 노폐물 제거에 필터 역할을 하는 것이 신장의 사구체인데 사구체는 혈관이 실타래처럼 뭉쳐져 있는 매우 작은 혈관 덩어리입니다. 우리 몸의 면역기능을 유지하기 위해 IgA라는 면역글로불린이 있는데 이 IgA가 작은덩어리를 형성해 피 속에 떠돌아다니다가 사구체에서 피가 걸러질 때 사구체에 침착되면 염증반응을 일으키게 되는데 이러한 질환을 IgA 신증이라고 합니다. 유전성 질환은 아니고 우리나라 사구체신염 환자의 20-4..
안녕하세요! 이약사입니다. 오늘은 신장병 환자의 식사관리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신장병 환자에게 가장 중요한건 나트륨 제한식입니다. 나트륨은 심혈관계 질환이나 콩팥 질환의 위험을 일으킬수있기 때문인데요. 신장학회에서는 소아나 성인 모두 만성콩팥병 환자에게 하루 2300mg 이하의 나트륨을 섭취할것을 권고합니다. 그리고 65세 이상은 이보다 적은 1700 - 2100mg 으로 조절하라고 합니다. 그리고 성인 기준 2300mg 이하지만 항상 상한선을 지키면서 먹는것보다 넉넉하게 2000mg만 먹는다 생각하고 식단을 짜시는게 좋겠습니다. 여기서 헷갈릴만한게 나트륨과 소금의 차이입니다. 당연한거지만 나트륨과 소금은 같지 않습니다. 보통 2000mg의 나트륨은 소금 5g과 같습니다. 따라서 2300mg 이하로 먹..
안녕하세요. 이약사입니다. 건강검진 결과 단백뇨 4+ 를 진단받고 부리나케 인근의 신장내과를 다녀오고 대학병원까지 가게되었는데요. 그간 있었던 일과 앞으로 제가 이 질환을 어떻게 관리해나갈지에 관한 이야기를 한번 써볼려고합니다. 먼저 건강검진 당일 이야기입니다. 오전에 검진을 받고 오후 1-2시쯤에 갑작스럽게 전화가 옵니다. " 환자분 단백뇨가 4+가 나왔습니다 " 처음엔 무슨말인지 몰랐습니다. 심각한건가요? 물어봐보니 추가검사를 준비하셔야한다고합니다. 제가 시간이 없어서 지금 당장 가겠다고 하니 잠시만 기달려보라고합니다. 잠시후 피검사 결과까지 나온다음에 의사와 상담해야한다고 말해줍니다. 그리고 걱정에 잠도 못자가면서 단백뇨가 잘못 나오는 경우까지 다 찾아가면서 2박3일을 기다렸습니다. 정말 피가 마르..
안녕하세요! 이약사입니다. 이번에 건강검진을 받고왔는데요..건강보험공단에서 2년마다 실시하는 검진에 정밀 피검사를 더하여 받았습니다. 근데 당일 갑자기 뇨검사에서 단백뇨가 나왔다면서 급하게 전화가 왔는데요;; 현재 쫄리면서 정밀검사를 기다리고 있는데..이것저것 찾아보면서 단백뇨 검사에 대한 블로그 글을 쓰면 좋겠다 싶어 써봅니다. 요검사 학교 다닐때 봤었던 간이 요검사지인데요. 국민보험공단에서 실시하는 것 역시 위와같은 스틱을 이용합니다. 소변 받아놓고 스틱으로 검사하는 것이지요..각 부분별로 색깔변화를 통해 뇨에 해당 성분이 얼마나 있는지 알수있는데요. 단백뇨는 0부터 1+ 2+ 3+ 4+ 까지 존재합니다. trace : 0 - 30mg/dl 1+ : 30-100mg/dl 2+ : 100-300mg/d..
내 블로그 - 관리자 홈 전환 |
Q
Q
|
---|---|
새 글 쓰기 |
W
W
|
글 수정 (권한 있는 경우) |
E
E
|
---|---|
댓글 영역으로 이동 |
C
C
|
이 페이지의 URL 복사 |
S
S
|
---|---|
맨 위로 이동 |
T
T
|
티스토리 홈 이동 |
H
H
|
단축키 안내 |
Shift + /
⇧ + /
|
* 단축키는 한글/영문 대소문자로 이용 가능하며, 티스토리 기본 도메인에서만 동작합니다.